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이번에 알아볼 것은 10월 3일 국경일인 개천절의 진정한 뜻과 의미입니다. 많은 분들이 개천절을 단순히 '단군이 고조선을 건국한 날'로만 알고 계시는데요. 사실 개천절에는 훨씬 깊고 다양한 의미가 담겨있습니다. 개천절의 한자인 '開天節'을 살펴보면 '하늘이 열린 날'이라는 뜻으로, 우리 민족의 시작과 정신을 담고 있는 소중한 날입니다. 오늘은 개천절의 다양한 해석과 숨겨진 의미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개천절의 기본적인 뜻
개천절(開天節)은 말 그대로 '하늘이 열린 날'을 의미합니다. 이는 기원전 2333년 음력 10월 3일에 단군왕검이 우리나라 최초의 민족국가인 고조선을 건국한 것을 기념하는 날입니다.
단군조선의 건국은 단순히 나라가 세워진 것을 넘어서, 한민족 최초의 국가가 탄생한 역사적 순간을 의미합니다. 이때부터 우리 민족은 홍익인간(弘益人間)과 이화세계(理化世界)라는 건국이념을 바탕으로 문명을 발전시켜왔습니다.
환웅의 하강을 의미하는 개천
개천절의 더 깊은 의미를 살펴보면, 단군의 건국보다 124년 앞선 사건을 가리키기도 합니다. 바로 환웅(桓雄)이 천신인 환인(桓因)의 뜻을 받아 처음으로 하늘을 열고 태백산 신단수 아래로 내려온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기원전 2457년 상원 갑자년 음력 10월 3일의 일로, 환웅이 신시(神市)를 열어 홍익인간과 이화세계의 대업을 시작한 날입니다. 대종교에서는 이날을 개천의 진정한 의미로 보고 있습니다.
환웅의 하강은 단순한 신화가 아니라, 우리 민족의 문화적 탄생과 정신적 각성을 상징하는 중요한 사건으로 해석됩니다.
민족 정신의 계승과 제천의식
개천절은 민족국가의 건국을 경축하는 국가적 경축일인 동시에, 문화민족으로서의 새로운 탄생을 경축하며 하늘에 감사하는 우리 민족 고유의 전통적 명절입니다.
우리 조상들은 개천절이라고 이름 붙이기 이전부터 10월을 상달(上月)이라 부르며 제천행사를 치렀습니다. 이러한 제천의식은 고조선 멸망 후에도 계속 이어져서:
등의 행사로 계승되었습니다. 이는 개천절이 단순한 기념일이 아니라 우리 민족의 정신적 뿌리와 문화적 정체성을 나타내는 깊은 의미를 담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근현대사에서의 개천절 의미
개천절은 일제강점기와 광복 후에도 특별한 의미를 가졌습니다. 1909년 나철을 중심으로 한 대종교에서 음력 10월 3일을 '개천일'로 명명하고 의식을 봉행하기 시작했습니다.
일제강점기 동안 개천절 행사는 민족의식을 고취하는 데 기여했으며, 상해임시정부에서도 개천절을 국경일로 정하여 경하식을 거행했습니다. 이는 개천절이 우리의 자주성을 지키고 민족정신을 되새기는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보여줍니다.
1949년 「국경일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면서 음력 10월 3일이던 개천절이 양력 10월 3일로 변경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개천절에 대한 궁금한 점들
Q: 개천절은 정확히 언제를 기념하는 날인가요?
A: 기원전 2333년 음력 10월 3일에 단군이 고조선을 건국한 날을 기념합니다. 하지만 더 깊은 의미로는 기원전 2457년 환웅이 하늘에서 내려온 날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Q: 왜 10월 3일을 개천절로 정했나요?
A: 우리 조상들은 10월을 상달이라 부르며 가장 귀하게 여겼고, 3이라는 숫자를 길수로 여겨왔습니다. 또한 한 해 농사를 추수하고 하늘에 감사하는 제천행사를 하는 달이기도 합니다.
Q: 개천절과 단군신화는 어떤 관계가 있나요?
A: 개천절은 단군신화에 바탕을 두고 있지만, 단순한 신화가 아니라 우리 민족의 문화적 정체성과 홍익인간이라는 건국이념을 담고 있는 정신적 유산입니다.
Q: 홍익인간과 이화세계는 무엇을 의미하나요?
A: 홍익인간은 '널리 인간을 이롭게 한다'는 뜻이고, 이화세계는 '이치로써 세상을 다스린다'는 의미로, 개천절에 담긴 우리나라의 건국이념입니다.
Q: 개천절에는 어떤 행사가 열리나요?
A: 정부 주관의 경축식과 함께 마니산 제천단, 태백산 단군전 등에서 제천의식이 열립니다. 또한 전국 각지에서 단군숭모단체들이 경건한 의식을 거행합니다.
Q: 개천절이 국경일이 된 시기는 언제인가요?
A: 1949년 「국경일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면서 공식적으로 국경일이 되었습니다. 이때 3·1절, 제헌절, 광복절과 함께 법정 국경일로 지정되었습니다.
Q: 일제강점기 개천절은 어떤 의미였나요?
A: 민족의식을 고취하고 우리의 자주성을 지키는 정신적 저항의 상징이었습니다. 상해임시정부에서도 국경일로 지정하여 경축했습니다.
Q: 대종교와 개천절의 관계는 무엇인가요?
A: 1909년 나철이 창시한 대종교에서 개천절이라는 명칭을 처음 사용하고 의식을 시작했습니다. 현재도 대종교에서는 전통적인 제천의식을 음력 10월 3일에 거행하고 있습니다.
Q: 개천절 노래는 언제 만들어졌나요?
A: 원래는 대종교에서 부르던 개천절 노래가 있었는데, 광복 후 대한민국에서 현행의 노래로 바뀌었습니다.
Q: 개천절과 다른 국경일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A: 개천절은 우리 민족의 뿌리와 정신적 기원을 기념하는 유일한 국경일입니다. 다른 국경일들이 근현대사의 중요한 사건을 기념한다면, 개천절은 민족의 시작과 문화적 정체성을 되새기는 날입니다.
결론
개천절의 뜻을 살펴보니 단순히 단군이 나라를 세운 날이 아니라, 우리 민족의 정신적 뿌리와 문화적 정체성을 담은 깊은 의미가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하늘이 열린 날이라는 개천의 의미는 환웅의 하강부터 단군의 건국, 그리고 홍익인간이라는 이념까지 포괄하는 종합적인 개념입니다. 일제강점기에는 민족의식을 지키는 정신적 저항의 상징이었고, 현재는 우리의 문화적 자긍심을 되새기는 소중한 날입니다. 그럼 여기까지 개천절의 다양한 뜻과 숨겨진 의미를 알아봤습니다.



